Eco-design

에코 디자인(Eco-disign)이란?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제품의 기능, 가격, 성능, 품질, 관련 법규 및 기술적 타당성 등의 설계 요건들뿐만 아니라 제품의 환경성을 파악하고, 이를 제품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우수한 환경성능을 보유하고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혁신형 에코디자인’ 사업아이템으로써 아래의 3유형으로 분류

① 사회적 이슈의 친환경적 해결형 : 자원·화학물질·미세먼지 등 우선순위가 높은 사회적 이슈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는 아이템
②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유도형 : 안전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충족시키는 아이템
③ 친환경적 재설계(Redesign)형 :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제품으로써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으로 재설계한 아이템

에코 디자인(Eco-design) 개념 및 유형

[개념] 제품의 전과정(원료채취, 수송, 생산, 사용, 폐기)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설계단계에서 미리 평가하여 저감시키는 기법

제품에 의한 환경부하는 70~80%가 설계단계에서 결정
1980년대에 제안된 위 개념은 ‘00년도 전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제품환경규제나 인증제도 등에 지대한 영향

[개념확대] 기존의 개념은 더욱 확장되어 “제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등 모든 인공물에 대한 친환경적 개발 활동”으로 업그레이드

폐기물에 예술적 가치 부여하는 ‘업사이클’ 형태나 주로 빈곤한 국가에서의 지속가능성을 이슈로 한 ‘적정기술’형 에코디자인 등장
최근에는 각종 사회적 이슈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는 ‘혁신형 에코디자인’이 부각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이란?

자연에서 얻은 원자재를 플라스틱 제조에 첨가한 바이오베이스(biobased) 플라스틱과 다 쓰고 나서 폐기되면 자연 생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뜻한다. 하지만 생분해라는 어휘를 과신하는 것은 금물이다. 

천연재료를 주원료로 화학기반 플라스틱과 유사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기존 플라스틱과 바이오플라스틱을 다양한 배율로 섞은 하이브리드 단계다.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의 중요성

바이오매스플라스틱의 원료인 바이오매스는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바이오매스플라스틱의 원료생성부터 제품 활용 후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전 생애에 대한 탄소배출량의 관점에서 본다면 공기 중으로의 탄소배출량이 적어, 탄소배출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소재입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사용 후 처리(End-of-life option) 방법

바이오플라스틱을 사용한 후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재사용, 기계적 리사이클링, 유기물 리사이클링, 퇴비화(composting), 소각에 의한 에너지 회수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현재 사용되는 바이오플라스틱의 상당량은 기존의 플라스틱처럼 분리수거 후 리사이클링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Bio-PE 또는 바이오-PP 등은 각각 기존의 PE, PET와 함께 리사이클링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바이오플라스틱은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를 완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